d

Sung Min Woo

Nov 2 - Nov 28 2024

Sung Min Woo

Artist's Note


풀의정원 Grass Garden 성민우|작가
  작가가 주목하는 풀은 존재의 사이에 있는 것들이다. 그것은 명확히 분류되지 않는 기타의 것들, 요컨대 나머지들이다. 중심이 아닌 주변이고 동일자가 아닌 타자이다. 대개 잡초라고 불리는 것들은 농사를 짓거나 정원을 가꾸는 입장에서는 제거 대상이다. 쫙 펼쳐져야 할 잔디에 한 두포기라도 있다면 오점이 된다. 촘촘하게 코드화된 도시에는 잡초는 빈틈, 말그대로 사이에서만 서식가능하다.
  허름한 담장 아래, 오래되어 금 간 바닥, 또는 어느 날  세워진 도시계획에 의해 일괄적으로 식재된 가로수 옆에서 잠시 자리할 수 있다. 도시에서는 잡초는 방치와 폐허의 기표에 불과하다. 작가는 그러한 미소한 존재들에 기념비적인 차원을 부여했다.
  작가가 직접 제작한 큰 화면도 그렇고 금분, 은분을 사용하여 그것들에 후광을 부여한 것도 그렇다. 에바헬러의 [색의 유혹]에 의하면 성인들의 머리 위에 그려지는 후광은 아우레올레(aure-ole)라고 하는데, 라틴어로 금을 뜻하는 아우름(aurum)이 그 어원이라고 한다. 에바헬러에 의하면 금은 광택 때문에 시각적으로 가벼워 보이지만 사실 가장 무거운 금속이다. 성민우의 작품에서 금색은 그 위에 칠해지는 먹의 색을 변조시킨다. 작품 속에서 은은하게 빛나게 되는 풀들은 어디선가 내리쬐는 빛에 의해서가 아니라 자체 발광하는 듯한 느낌이다. 금의 실제적인 무거움은 상징적인 의미의 무거움으로 대치된다. 풀은 크지 않은 화면에 나타날 때도 마치 귀중한 초상처럼 화면 한가운데 안치된다.
  풀들은 폭우나 강풍 같은 거친 자연력 속에서 이리저리 몸을 뒤척인다. 풀들은 유연해서 다가오는 힘에 몸을 싣고 고난을 견뎌낸다. 계절의 변화는 풀에게 형태를 변모하게 할 뿐 무( 無 )나 죽음이 아니다. 우리는 늘 '마지막 잎새'같은 드라마틱한 상황에 주목하지만, 매해같은 자리에서 싹을 틔워 한 해의 시작을 알리는 풀만큼 희망적인 존재가 있을까. 위대함보다는 불길함에 가까운 용어로 다가오는 '인류세' 시기에는 인간이 야기한 원인에 의해 식물들은 뿌리째 불타 재가 되곤 한다. 문명과 가까이 있는 풀들은 밟으면 밟히고 뽑으면 뽑히고 베어내면 잘린다. 그것들은 뭔가 더 중요한 존재를 위한 배경에 불과하다고 간주된다. '민초'라는 민주주의적 사상처럼 작가는 배경을 전경화한다. 지상의 가장 낮은 곳에 거처하는 것들을 눈높이로 일으켜 세운다.    
  ▲ 풀의 정원 130.3 * 387.8 cm 비단에 수묵과 은분 2024      

Profile

 
성 민 우 (Sung Min Woo)
홍익대학교 동양화가 및 동대학원 석사 한국교원대학교 미술교육학 박사
  개인전 2024 풀의 정원 (아트센터자인, 서울) 2024 Bouquet for You (아트라운지by세라핌, 분당) 2023 SEASON (로운갤러리, 서울) 2023 Oikos (한가람미술관, 서울) 2023 이동훈미술상 특별상 수상작가전(대전시립미술관, 대전) 2022 Oikos_Begin Again (갤러리에이블, 세종) 2021 Kore's Bouquet (테미예술창작센터, 대전) 2020 Little Grass (Gallery Kitanozaka, 고베) 2019 Oikos_다섯번째 계절 (갤러리도스, 서울) 2018 Bouquet for Someone (모리스갤러리, 대전) 2017 Oikos_Bouquet (KSD갤러리, 서울) 2016 Oikos (갤러리그림손, 서울) 2015 Ecology (Gallery bdmc, 파리) 2014 관계의 생태 (ablefineartNYgallery, 서울) 2014 草像 (모리스갤러리,대전) 2013 Portrait ( ablefineartNYgallery, 뉴욕) 2012 일년생 (갤러리이즈, 서울: 모리스갤러리, 대전) 2012 풀의 정원 (화봉갤러리,  서울) 2010 가벼운 사랑 (팝아트팩토리, 서울) 2009 풀 (목인갤러리, 서울) 2007 흔한풀 (노암갤러리, 서울) 2005 풀의 초상 (대학로 21C 갤러리, 대전) 2005 금빛풍경 (관훈갤러리, 서울) 2003 나무 (노암갤러리, 서울)
  주요 수상내역 2024 인카네이션 문화예술재단 예술상 2022 이동훈미술상 특별상 2021 광주화루 우수상 2015 단원미술제 단원미술상 2013 겸재 정선 내일의 작가 레지던시 2021 테미예술창작센터 현재 공주교육대학교, 공주대학교 출강
  주요 기획 • 단체전 2024 MONOLOGUE&DIALOGUE (아트센터 자인, 서울) 호텔페어 아트기획관(코엑스, 서울) 북적북적 (스페이스로, 서울) Faculty Art Show (일락갤러리, 공주) 다반향초 (안젤리미술관, 용인) 화가난다 (갤러리숨, 대전)   2023 호연재 Vol.4 (대덕문화원, 대전) Easy&Friendly (갤러리어스, 서울) 한국화의 새로운 모색과 확장 (함평군립미술관) 종이와 비단 (고트빈갤러리, 대전)   2022 꽃이 피다 (갤러리밀크릭, 하남) 더 드로잉 - Fundamental (그림손갤러리, 서울) 회복의 시대 (갤러리청주, 청주)   2021 한일예술통신5 (The Terminal KYOTO, 교토) 생태, 생태예술과 여성성 (동덕아트갤러리, 서울) 콘크리트 니모르 (Gallery Kitanozaka, 고베)   2020 화; (충무로갤러리, 서울) 또 다른 나 (모리스갤러리, 대전) 단원 잇다 (단원미술관, 안산)   2019 With Silk (갤러리한옥, 서울) 두겹의 그림자노동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서울) New Island (구석으로부터, 대전) 관점의 차이 (그림손갤러리, 서울)   2018 디어마이웨딩드레스 (서울미술관, 서울) 비-인간적인 너무나 비-인간적인 (해움미술관, 수원) 엘리스의 정원 (모리스갤러리, 대전) The Winter Story (강릉아트센터, 강릉)   2017 현대한국화특별전-낯설다 (진천종박물관) 한국과 타이완 현대 미의식의 중심모색 (현대미술공간C21) 불이( 不二 )- 여성과 자연 ( 조선일보미술관)   2016 넥스트코드_모험도감 (대전시립미술관) 단원미술제 수상 • 추천 • 초대작가전 (단원미술관)
Date
  • Nov 2 - Nov 28 2024

Location
  • 아트센터 자인

02

11월

Sung Min Woo